생활비 부담을 줄여주는 기준 중위소득이란? 쉽게 알아보자

2024. 11. 5. 14:08경제&금융

 

 

기준 중위소득은 나라에서 지원 상품을 제공할 때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분별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는 금액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같은 금융상품을 제공할 때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정의와 계산법을 쉽고 빠르게 알아보시고 현재 본인의 소득 기준을 확인해 보신 다음 정부에서 지원하는 여러 가지 혜택을 누려보세요!

 

 

 

 

 

 

목차

 

 

1. 기준 중위소득이란?

 

2. 기준 중위소득 계산법

 

3. 기준 중위소득 50%,100%, 150% 의미

 

4. 나의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기

 

 

 

 

 

Q.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

앞서 말했듯이 기준 중위소득은 나라에서 정부 지원금으로 금융 상품을 제공할 때 받을 사람을 분별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쉽게 말해, 국민들의 수익을 중간으로 줄을 세워서, 그 가운데 있는 소득을 기준으로 보는 겁니다. 사람들의 수익을 적은 금액에서 큰 금액으로 순서대로 줄을 쭉 세운다고 했을 때 그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소득이 바로 기준 중위소득이 되는 것입니다. 기준 중위소득보다 수익이 낮은 사람들에게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것이죠.

 

 

 

Q.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기준 중위소득은 통계청의 통계자료인 가구 소득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산됩니다. 가구 소득에는 일반적인 직장에서 들어오는 수입뿐만 아니라 부동산 수입과 주식 소득 등 모두 포함됩니다. 이렇게 수집한 소득을 적은 소득에서 많은 소득 순서대로 줄을 세우고 이 줄의 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소득이 중위소득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0가구의 소득을 계산했다면 50번째에 있는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이 되는 것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혼자 사는 가구와 네명이 사는 가구의 생활비가 다르기 때문에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른 기준 중위소득을 정합니다. 그래서 통계청이나 보건복지부에서 가족 구성원이 몇 명이냐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을 따로 계산하여 발표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찾아보실 때 가족 구성원 수를 꼭 확인하세요!

 

 

 

나라의 경제 상황이나 사람들의 수입이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기준 중위소득도 매년 조금씩 달라지니 이 사실도 잘 기억해 두시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혜택을 찾아보시고 신청하실 때 참고하세요!

 

 

 

 

Q. 기준 중위소득 50%, 100%, 150%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기준 중위소득 뒤에 숫자와 퍼센트가 붙는 것은 나라에서 지원받을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의 몇 배를 의미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가 우리나라에서 딱 중간 정도 수입을 버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앞서 기준 중위소득에 관해 설명해 드렸듯이 우리나라 가구 소득 줄을 세워 봤을 때 한 가운데에 있는 가구의 소득은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4인 가족의 기준 중위소득이 1000만원이라면, **기준 중위 소득 100%**는 4인 가구가 한 달에 1000만원을 버는 것이 중간 수입이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50%는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에서 0.5를 곱한 값입니다. 즉 절반이 되는 금액이죠. 예를 들어 4인 가족의 기준 중위소득 50%는 100% 금액의 절반인 50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 반대로 기준 중위소득 200%는 기준 중위소득의 두 배를 의미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가 4인 가구 기준으로 1000만 원이라면, 기준 중위소득 200%는 2000만 원이 되는 것이죠.

 

 

기준 중위소득의 200%나 150% 같은 표현은 나라에서 국민들을 위해 제공하는 여러 지원 혜택의 자격을 판단하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복지 혜택은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에만 제공되고, 또 다른 혜택은 120% 이하인 가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준 중위소득을 퍼센트로 나누어 표현하는 이유는, 모든 사람의 경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에게 어떤 혜택을 줄지 공정하게 분별하기 위해서입니다.

 

 

 

Q. 나의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먼저 주민등록표에 있는 가족 세대 수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2. 올해 기준 중위소득 표를 확인해야 합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표를 발표합니다. 표에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월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120% 150% 등이 나와 있습니다.
  3. 가구 총소득을 계산하고 기준 중위소득 표에 나온 우리 가구원 수에 해당하는 100% 소득과 비교합니다. 여기서 가구 총소득에는 월급뿐만 아니라 아르바이트 수입이나 다른 수입이 있다면 전부 포함해야 합니다. 만약 우리 집 가구 총소득이 600만원이 나왔고 기준 중위소득이 100%가 500만원이라고 한다면, 우리 가족의 기준 중위소득은 120% 수준이 되는 것입니다.

 

 

쉽게 요약하면, 가구원 수 확인 → 올해 기준 중위소득 표에서 해당하는 가구원 수의 기준 중위소득 찾기 → 가구 총소득 계산 → 퍼센트 계산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이 계산법이 복잡하고 귀찮다면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네이버 창에 복지로 검색하기 복지서비스 클릭하기 모의 계산 클릭하기 국민기초생활보장 클릭하기

 

복지로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InsertNblgPage.do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InsertNblgPage.do

 

www.bokjiro.go.kr

 

 

 

+2024년도와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표

  2024 2025
1인 가구 2,228,445 2,392,013
2인 가구  3,682,609 3,932,658
3인 가구 4,714,657 5,025,353
4인 가구 5,729,913 6,097,773
5인 가구 6,695,735 7,108,192
6인 가구 7,618,369 8,064,805

 

*더 확실한 정보를 위해 직접 보건복지부 사이트에 방문하셔서 가족 구성원 수에 따른 정확한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나라에서 중간 정도 소득을 기준으로, 복지 지원 대상을 정할 때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가구의 총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인지에 따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알고 있으면 가구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확인하고 생활비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매년 바뀌는 기준 중위소득을 통해 경제 상황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기준 중위소득에 관한 글이 여러분의 가계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에 있어서, 그리고 실제로 재정 상황에 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